[선형대수] 06. 기저와 차원
기저와 차원. 벡터 공간, 선형 변환, 선형 독립, 기저, 차원, 행/열/영 공간, 랭크와 널리티
1. 벡터 공간¶
벡터 공간(vector space)은 벡터의 덧셈과 스칼라 곱이 정의된 공간으로, 벡터 집합이 존재할 때 해당 벡터들로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며, 선형 공간(linear space)이라고도 부른다. '길이'나 '각도'가 정의되지는 않으며, '길이'나 '각도'가 정의되는 공간은 내적 공간(inner product space)이라고 부른다.
1차원 실수 공간은 \(\mathbb{R}\)로 표현되며, 2차원은 \(\mathbb{R}^{2}\), 3차원은 \(\mathbb{R}^{3}\)으로 표현된다.
부분 공간¶
벡터 공간의 일부분을 부분 공간(subspace)이라고 한다. 그리고 생성 공간(span)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전체 벡터 공간 \(V\)가 3차원이고 \(S\)가 2개의 기저 벡터 집합일 때, \(S\)에 속하는 기저 벡터들로 구성되는 2차원 부분 공간을 \(W\)라고 하면, \(S\)는 부분 공간 \(W\)를 \(span\)한다고 말하고,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2. 선형 변환¶
선형 변환(linear transformation)은 두 벡터 공간 사이의 함수를 말하며, 예를 들어 행렬과 벡터의 곱 \(Ax\)는 벡터 \(\text{x}\)에 선형 변환 \(A\)를 취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행렬은 선형 변환의 의미를 포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선형 변환은 달리 선형 사상(linear map)이라고도 부른다.
3. 선형 결합과 선형 독립¶
아래와 같이 벡터 \(\text{w}\)를 벡터 \(\text{u}_{n}\)과 스칼라 \(a_{n}\)의 조합으로 나타낼 수 있을 때 벡터 \(\text{w}\)를 벡터 \(\text{u}_{n}\)의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으로 나타낼 수 있다고 말한다.
\(A = \{a_{1}, a_{2}, \cdots, a_{n}\}\)이 벡터공간 \(S\)내의 벡터들의 집합이고, \(A\)에 속하는 벡터를 \(A\)에 속하는 다른 벡터들의 선형 결합(linear combination)으로 표현할 수 없을 때 \(A\)를 선형 독립(linear independent)이라고 하며, 반대로 특정 벡터를 다른 벡터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면 선형 종속(linear dependent)이라고 한다.
4. 기저¶
단위 벡터¶
길이가 1인 벡터를 단위 벡터(unit vector)라고 하며 방향에 관한 정보만을 담고 있기 때문에 방향 벡터(direction vector)라고 부르기도 한다. 단위 벡터(unit vector)는 \(\widehat{\textbf{u}}\)와 같이 \(hat\) 기호를 사용해 나타내며, 특정 벡터 \(\textbf{u}\)를 단위 벡터 \(\widehat{\textbf{u}}\)로 정규화(normalization)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다.
위 표기에서 \(\text{sgn}\)은 부호 함수를 뜻하며, \(\Vert \textbf{u} \Vert\)는 노름(norm)을 뜻한다.
Info
참고로 ^ 기호를 수학에서 Hat(모자) 기호라고 부르는데, 상황에 따라 단위 벡터, 추정량 등 의미가 달라진다. 자세한 내용은 위키피디아를 참고하자.
기저 벡터¶
앞서 벡터 공간(vector space)의 정의에서 벡터 집합이 존재할 때 해당 벡터들로 구성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고 했을 때, 기저 벡터(basis vector)는 벡터 공간을 생성하는 선형 독립인 벡터들을 말한다. 쉽게 말해서 아래와 같이 특정 벡터를 단위 벡터의 선형 결합으로 표현하였을 때, 각 축의 단위 벡터인 \(\text{i, j, k}\)를 기저 벡터(basis vector)라고 한다.
5. 차원¶
차원(dimension)이란 해당 공간을 구성하는 기저 벡터의 개수로, 1차원 공간 \(\mathbb{R}\)을 나타내는 데에는 기저 벡터 1개가 필요하고, 2차원 공간 \(\mathbb{R}^{2}\)은 기저 벡터 2개, n차원 공간 \(\mathbb{R}^{n}\)은 기저 벡터 \(n\)개가 필요하다.
6. 행/열/영 공간¶
아래와 같이 행 벡터로 \(span\)할 수 있는 공간을 행 공간(row spaces)으로 부르고, 열 백터로 \(span\)할 수 있는 공간을 열 공간(column spaces)이라고 부른다.
또한 \(A\text{x} = 0\)을 만족하는 해(solution) 공간을 영 공간(null space)이라고 한다. 다른 말로 하자면, 행렬 \(A\)의 영 공간(null space)이란 행렬 \(A\)가 주어질 때 \(A\text{x} = 0\)을 만족하는 모든 벡터 \(\text{x}\)의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7. 랭크와 널리티¶
행렬 \(A\)의 행 공간과 열 공간의 공통 차원을 행렬 \(A\)의 랭크(rank)라고 하고,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만약 행렬의 랭크가 해당 행렬이 가질 수 있는 랭크 중 최대치일 때 해당 행렬을 풀 랭크(full rank) 행렬이라고 부른다.
행렬 \(A\)의 영공간의 차원을 행렬 \(A\)의 널리티(nullity)라고 부르며 아래와 같이 표기한다.
랭크(rank)와 널리티(nullity)의 성질은 아래와 같다.
- 행렬 \(A\)가 임의의 행렬이면 \(rank(A) = rank(A^{T})\)이다.
- 행렬 \(A\)가 \(n\)개의 열을 가진 행렬일 때, \(rank(A) + nullity(A) = n\)을 만족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