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형대수] 12. 행렬의 대각화
행렬의 대각화. 대각화, 고유값 분해, 특이값 분해
1. 행렬의 대각화¶
대각화¶
행렬을 대각 행렬(diagonal matrix)로 만드는 것을 대각화(diagonalization)라고 하며, \(n \times n\) 행렬 \(A\)가 대각화 가능하려면 \(n\)개의 서로 다른 고유값을 가져야 한다.
직교 대각화¶
직교 닮음인 행렬이 대각 행렬일 때, 즉 아래 식 처럼 행렬 \(A\)가 행렬 \(P\)에 의해 대각화 될 때 직교 행렬 \(P\)가 행렬 \(A\)를 직교 대각화(orthogonal diagonalization)한다고 말한다.
\(n \times n\) 행렬 \(A\)가 직교 대각화가 가능하려면 다음 조건을 만족시켜야 한다.
- 행렬 \(A\)의 고유 벡터는 \(n\)개의 정규 직교 벡터를 만족해야 한다.
- 행렬 \(A\)가 직교 대각화 가능하려면 \(A\)는 반드시 대칭 행렬이어야 한다.
2. 고유값 분해¶
고유값 분해(eigenvalue decomposition)는 직교 대각화의 한 종류로, 아래와 같이 정사각 행렬을 고유값과 고유 벡터의 곱으로 분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위 식에서 \(\lambda_{1}, \lambda_{2}, \lambda_{3}\)는 행렬 \(A\)의 고유값이고, \(\textbf{u}_{1}, \textbf{u}_{2}, \textbf{u}_{3}\)는 각 고유값에 해당하는 고유 벡터다.
고유벡터 구하는 함수를 Python으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다. 앞서 고유값과 고유벡터 계산에서 이미 구현한 바 있다.
scalar = int | float
vector = list[scalar]
matrix = list[vector]
def orthogonal_check(a: matrix) -> bool:
"""checks whether orthogonal matrix or not"""
tmp: matrix = mat_mul(a, mat_trans(a))
tmp: matrix = mat_smul(1 / tmp[0][0], tmp) # line for evading floating point error
I: matrix = mat_identity(len(a))
return tmp == I
3. 특이값 분해¶
특이값 분해(singular value decomposition)는 \(m \times n\) 행렬 \(A\)를 아래와 같이 특정한 형태로 분해하는 것을 의미한다.
- 행렬 \(U\)는 \(m \times m\) 직교 행렬이며, 행렬 \(U\)의 열벡터는 \(AA^{T}\)의 고유 벡터로 구성된다.
- 행렬 \(V^{T}\)는 \(n \times n\) 직교 행렬이며, 행렬 \(V\)의 열벡터는 \(A^{T}A\)의 고유 벡터로 구성된다.
- 행렬 \(\Sigma\)는 \(m \times n\) 직사각 대각행렬
위 식에서 행렬 \(U, V\)에 속한 벡터들을 특이 벡터(singula vector), 행렬 \(\Sigma\)의 0이 아닌 대각 원소값들을 특이값(singular value)이라고 하며, 특이값(singular value)은 행렬의 고유값에 루트를 씌운 값과 같다.
특이값 분해를 Python으로 구현하면 아래와 같다.
scalar = int | float
vector = list[scalar]
matrix = list[vector]
def svd(a: matrix) -> tuple:
"""singular value decomposition"""
e, v = eig_qr(mat_mul(mat_trans(a), a))
s: vector = [i ** 0.5 for i in e]
vt: matrix = mat_trans(v)
ut: matrix = [normalize(v) for v in mat_trans(mat_mul(a, v))]
u: matrix = mat_trans(ut)
return u, s, v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