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기초통계학] 08. 기대값과 모분산

모집단의 기대값과 분포


1. 모평균(기대값)

표본평균상대도수를 이용한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관측된 자료의 값에 각 자료가 전체 자료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곱하여 더한 것으로 표현할 수 있다.

\[ \overline{x} = \sum_{i=1}^{n}x_{i} \frac{n_{i}}{n} = \sum_{i=1}^{n}x_{i}p_{i}, \quad p_{i} = \frac{n_{i}}{n} \]

이 때 \(n_{i}\)는 도수분포에서 \(i\) 번째 값의 개수이고 \(p_{i}\)\(i\) 번째 값의 표본비율이므로, 상대도수의 극한의 개념에 따라 위 식에서 \(n\)이 무한대로 발산하면 모집단에서 각 사건이 발생할 확률이 되어 이를 통해 모평균을 구할 수 있다. 이를 큰 수의 법칙(Law of large numbers, LLN)이라 한다.

\[ \overline{x} = \sum_{i}x_{i}p_{i} \ \to \ \overline{X} = \sum_{i}x_{i}f(x_{i}) = \mu = E(X) \]

위와 같이 확률변수에 대해 평균적으로 기대하는 값, 즉 모평균(population mean)을 확률변수의 기대값(expected value)이라 하며, 확률분포 또는 모집단의 중심경향치가 된다.

이산확률변수와 연속확률변수에서 \(X\)의 기대값은 각각 아래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 \begin{align*} E(X) & = \sum_{x}xf(x) = \mu \\ \\ E(X) & = \int xf(x)dx = \mu \end{align*} \]

1-1. 변환된 확률변수의 기대값

확률변수 \(X\)의 변환된 확률변수를 \(Y = g(X)\)라 할 때, 이산확률변수와 연속확률변수에서 \(Y\)의 기대값은 각각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 \begin{align*} E(Y) & = E(g(X)) = \sum_{x}g(x)f_{X}(x) \\ \\ E(Y) & = E(g(X)) = \int g(x)f_{X}(x)dx \end{align*} \]

1-2. 기대값의 성질

기대값의 성질은 아래와 같다.

  • 임의의 상수 \(a\)의 기대값은 \(a\)와 같다.
\[ E(a) = \sum_{x}af(x) = a\sum_{x}f(x) = a \]
  • 변환된 확률변수 \(aX + b\)의 기대값은 아래와 같다.
\[ \begin{align*} E(aX + b) & = \sum_{x}(ax + b)f(x) \\ \\ & = a\sum_{x}xf(x) + b \\ \\ & = aE(X) + b \end{align*} \]
  • 임의의 함수 \(g_{1}, g_{2}\)의 기대값은 아래와 같다.
\[ \begin{align*} E(g_{1}(X) + g_{2}(X)) & = \sum_{x} \{ g_{1}(x) + g_{2}(x) \} f(x) \\ \\ & = \sum_{x}g_{1}(x)f(x) + \sum_{x}g_{2}(x)f(x) \\ \\ & = E(g_{1}(X)) + E(g_{2}(X)) \end{align*} \]

2. 모분산

표본분산상대도수를 이용한 식으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이 표현할 수 있다.

\[ s^{2} = \frac{1}{n - 1}\sum_{i=1}^{k}n_{i}(x_{i} - \overline{x})^{2} = \frac{n}{n - 1}\sum_{i=1}^{k}(x_{i} - \overline{x})^{2}p_{i}, \quad p_{i} = \frac{n_{i}}{n} \]

모평균과 마찬가지로 상대도수의 극한의 개념에 따라 위 식에서 \(n\)이 무한대로 발산하면 모집단에서의 자료의 분포에 대한 정보가 되어 아래와 같이 모분산(population variance)에 대한 식을 도출할 수 있다.

\[ s^{2} = \frac{n}{n - 1}\sum_{i=1}^{k}(x_{i} - \overline{x})^{2}p_{i} \ \to \ \sigma^{2} = \sum_{i=1}^{k}(x_{i} - \mu)^{2}f(x_{i}) = Var(x) \]

모분산은 \(X\)가 변환된 함수이기 때문에 변환된 확률변수로 표현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산확률변수와 연속확률변수의 모분산을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 \begin{align*} Var(X) & = \sum_{i=1}^{k}(x_{i} - \mu)^{2}f(x_{i}) = E((X - \mu)^{2}) \\ \\ & = E(X^{2}) - \mu^{2} = E(X^{2}) - E(X)^{2}\\ \\ Var(X) & = \int(x - \mu)^{2}f(x)dx = \int x^{2}f(x)dx - \left( \int xf(x)dx \right)^{2} \end{align*} \]
모분산 간편식의 유도
\[ \begin{align*} Var(X) & = \sum_{i=1}^{k}(x_{i} - \mu)^{2}f(x_{i}) = E((X - \mu)^{2}) \\ \\ & = \sum_{i=1}^{k}(x_{i}^{2} - 2x_{i}\mu + \mu^{2})f(x_{i}) \\ \\ & = \sum_{i=1}^{k}x_{i}^{2}f(x_{i}) - 2\mu\sum_{i=1}^{k}x_{i}f(x_{i}) + \mu^{2} \\ \\ & = \sum_{i=1}^{k}x_{i}^{2}f(x_{i}) - 2\mu^{2} + \mu^{2} = \sum_{i=1}^{k}x_{i}^{2}f(x_{i}) - \mu^{2} \quad \because \sum_{i=1}^{k}x_{i}f(x_{i}) = \mu \\ \\ & = E(X^{2}) - \mu^{2} = E(X^{2}) - E(X)^{2} \end{align*} \]

모표준편차(population standard deviation)는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 \sigma = \sqrt{\sigma^{2}} = SD(X) \]

2-1. 모분산의 성질

모분산의 성질은 아래와 같다.

  • 자료의 분포에 변화를 주는 계수는 제곱이 되고, 전체 자료의 위치를 일괄적으로 변화시키는 상수항은 0이 된다.
\[ Var(aX + b) = a^{2}Var(X) \]
증명
\[ \begin{align*} E(aX + b) & = aE(X) + b = a\mu + b \\ \\ \Rightarrow Var(X) & = E((aX + b - a\mu - b)^{2}) \\ \\ & = E((a(X - \mu))^{2}) = E(a^{2}(X - \mu)^{2}) \\ \\ & = a^{2}E((X - \mu)^{2}) = a^{2}Var(X) \end{align*} \]
  • 변환된 확률변수의 표준편차를 구할 때는 계수가 절대값으로 변환된다.
\[ SD(aX + b) = \sqrt{Var(aX + b)} = \sqrt{a^{2}Var(X)} = \vert a \vert SD(X) \]

Reference